"엣지 있는 선반 인테리어" 선반은 가성비가 매우 좋은 인테리어 자재(?)인데요. 오늘은 선반을 활용해서 다양하게 인테리어한 사진을 모아봤습니다. 한 때 선반이 너무 예뻐보여서 과하게 달다보니, 집 안이 답답해보이는 부작용이 있었더랬지요;;; 과유불급. 적당히 달아서 예쁜 집 꾸며보아요. 선반을 활용한 인테리어를 8가지 주제로 나눠봤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사진이 매우 많습니다. 많이 보여드리고 싶은 마음에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편집을 했지만 그래도 많네요. 즐겁게 봐주시길 바랍니다. ^^원목선반 / 데코월 / 박스형선반 / 철재선반 / 코너선반 / 액자데코 / 주방선반 / 욕실선반 1. 원목선반 네츄럴원목의 느낌을 한껏 살린 선반입니다. 철재, 가죽 등 다양한 소재와 어우러져 또다른 느낌을 줍니다. 원..
"셀프 인테리어 공사 순서" 셀프 인테리어를 진행하기로 결심했지만 어떤 공사부터 해야할지 막막하기만 합니다. 오늘은 공사 순서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현장 상황에 따라 약간의 순서 조정은 가능하며 공정에 따라 1일 정도의 여유일을 두면 순조롭게 공사 진행을 하실 수 있습니다. 예산→작업범위→자재선정→견적→주민동의서→철거→설비→샷시→전기→목공→타일→필름→마루→도배→싱크→입주청소 우선 작업은 위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지는데요.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예산 정하기 셀프 인테리어를 할 수 있는 예산을 정합니다. 진행 도중 추가 작업이 나올 가능성이 매우 크므로 잡은 예산의 20%를 추가하여 최종 예산을 확정합니다. 2. 인테리어 범위 정하기 공사 범위에 넣을 부분을 정합니다. 이왕 하는 거 다 하고 싶..
"우리아이 독립 공간 만들기" 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이제는 진짜 독립을 시켜야겠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지금도 아이 방이 있지만 엄마의 불안한 마음과 둘째에게 엄마를 뺏기기 싫은 첫째의 경쟁심리로 인해 첫번째 시도는 실패로 끝났었죠. 미래 이사가는 시점에 예쁜 아이방을 선물하며 첫째 둘째 모두 독립을 시키겠다는 원대한(?) 계획을 세워봅니다. 아이방의 경우 방을 어떻게 꾸미느냐에 따라 아이의 정서발달과 학습능력에 많은 영향을 준다고 합니다. 연령, 성별, 성향에 따라 인테리어가 조금씩 달라질 수 있는데요. 첫째는 7살, 둘째는 5살임을 염두에 두고 아이방을 꾸미는 데 유의해야할 점 5가지를 정리해보겠습니다. 1.색 파스텔 계열로 차분하게 우리는 이런 선입견이 있죠? 남자는 블루, 여자는 핑크. 아이들 키..
루밍 (http://rooming.co.kr)로고부터 루밍만의 아이덴티티가 느껴집니다. 이탈리아, 프랑스, 스위스, 영국, 미국과 요즘 트랜드인 북유럽 등 세계 각지의 인테리어 관련 제품을 루밍의 감각으로 선정하여 소개하는 디자인 편집 매장입니다. 유명 또는 신진 디자이너의 가구 및 생활소품을 쉽게 살펴볼 수 있으니, 인테리어 감각을 키우는데 도움이 될 것 같네요. 해외 디자이너 작품들이다 보니 가격대가 상당한 제품들도 많습니다. 세일 카테고리도 다양하게 있으니 이용해보시기 바래요~
"인테리어의 뼈대를 만드는 목공" 셀인을 목표로 하니, 공부할 게 참으로 많습니다. 그 중에서 오늘은 목공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목공은 자세히 알려주는 곳도 없고, 범위도 넓어서 직접 경험해봐야 확실히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막연히 목공이 많이 들어가면 잡지에 나올 법한 예쁜 집이 되지만 비용은 훅~ 올라갈 거라는 생각에 목공을 어디까지 해야할지 조심스럽습니다. 사실 목공없이 진행해보려고 했지만 알면 알수록 완전히 빼고 가기는 힘들겠습니다. ㅡ.ㅡ; 그럼, 목공이 무엇이며 어떤 것들이 포함되는지 한 번 정리해보겠습니다. 우선 목공은 목재나 기타 자재를 깎고 조립하여 지붕틀, 방음설비, 마루, 칸막이, 내 외장 마감 등 건출물의 내. 외부 공사에 필요한 목재 작업을 담당하는 직업의 한 분류라고 ..
" 우리집의 첫인상! 전실 인테리어 " 친구나 지인 집을 방문할 때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공간이 전실입니다. 해외와는 달리 아파트 생활을 주로 하는 우리들에게 전실 인테리어는 매우 중요한데요. 바로 우리집에 대한 첫인상을 심어주는 곳이기 때문입니다. 사람 만날 때도 첫인상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죠. 전실은 딩동딩동~ 벨 누르고 문열고 들어간 후부터 현관에 들어서기 전까지의 공간입니다. 매우 유용한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요즘 분양하는 아파트에는 공간이 줄어들거나 아예 없는 곳도 있는 것 같습니다. 오늘은 현관을 포함한 전실 인테리어 사진을 모아봤습니다. 우리 나라가 아파트 생활을 더 많이 하는지라 해외 사진보다는 국내 사진 위주로 구성했습니다. 전 인테리어 전공자가 아니므로 그냥 사진을 보고 생각나는대로 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