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SCHD라는 배당주 ETF와 이를 활용한 재테크 방법, 그리고 복리 효과의 장점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해요. 요즘 금리가 낮아지면서 안정적인 배당을 받을 수 있는 배당주 투자가 인기를 끌고 있잖아요? 그중에서도 SCHD는 특히 많은 투자자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ETF인데요, 왜 그런지 한 번 자세히 알아볼게요~!1. SCHD란 무엇인가요?SCHD는 미국의 대표적인 배당주 ETF 중 하나로,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의 약자예요. 간단히 말해서 미국의 우량 배당주들을 모아놓은 ETF라고 생각하면 돼요. 이 ETF는 주로 안정적인 배당을 지급하는 대형 기업들에 투자하고 있으며 매년 3월에 기준에 맞춰 리밸런싱을 해요. 얼마전 21일에도 리밸런싱이 이..

재테크를 위해 꼭 만들어야하는 두 개의 계좌가 있는데요. 그 중 하나가 ISA 계좌입니다. ISA는 1인 1 계좌만 가능하고, 의무 가입기간은 3년입니다. 5년까지 기간은 연장이 가능하고, ISA 해지 후에 재가입이 가능합니다. 그럼, 예금자보호법에 따라 5,000만원까지 보호되는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얘기해보겠습니다.1. 세제 혜택 ISA 계좌를 이용하는 이유는 세금을 감면해주기 때문입니다. ISA 계좌에서 발생한 투자수익, 이자와 배당 소득은 일정 금액까지 비과세예요. 그리고 일반 상품의 경우 이자나 배당 소득세로 15.4%를 내는 것에 비하면 세 부담이 낮습니다. 한도 초과분에 대해서는 9.9%가 적용되기 때문입니다.또한 분리과세가 되기 때문에 2,000만원 이상의 금..
임장 시 체크사항 정리부동산을 공부하다보면 임장이라는 용어를 듣게 되는데요. 임장은 '현장에 직접 가보는 것'입니다. 워킹맘인지라 시간내기가 쉽지 않은데, 간만에 자유로운 하루를 얻게 되었어요. 그것도 평일을요(다들 일할 때 쉬는게 꿀이죠). 갑작스런 휴가라 아침에 일어나 집앞 정류장으로 무작정 나왔어요. '아 오늘은 임장이라는 걸 해봐야겠다.' 하고 평소에 오가며 관심있게 봐왔던 아파트로 향해 4시간 정도 둘러봤습니다. 첫번째 임장을 하며 임장할 때는 무엇을 확인해야하는지 저 나름대로 느낀 점을 몇 개 적어봅니다. 1. 지하철까지의 거리 확인 대중 교통에서 가장 중요한 지하철역을 기준으로 합니다. 지하철역까지의 거리는 네이버부동산에서도 확인 가능하지만 직접 걸어봅니다. 지도에 표시되지 않은 가로지르는 ..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재테크 공부를 지금 막 시작하는 사람이라면 꼭 한 번쯤은 봐야할 EBS 다큐 [자본주의]입니다. 5부작이라 부담된다면 1부,2부 만이라도 꼭 보도록 하세요. 1부에서는 은행이 만드는 인플레이션 이야기, 2부에서는 사람들은 왜 소비를 하는지 심리적인 내용을 다룹니다. 본 지 오래되어서 가물가물하네요. 한 번 더 봐야겠어요. 1부. 돈은 빚이다. 2부. 소비는 감정이다. 3부. 금융지능은 있는가? 4부. 세상을 바꾼 위대한 철학들 5부. 세상을 바꾼 위대한 철학들
"재테크 마인드 정립" 재테크 공부, 하긴 해야하는데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시겠죠?? 재테크 관련 책은 넘쳐나는데, 어떤 책을 봐야할지 모르겠습니다. 통장쪼개기, 주식, 펀드, ETF, 부동산까지 해야할 것도 많고 솔직히 어렵게만 느껴집니다. 우린 다들 너무 바쁘고, 공부할 시간이 어디 있나요?? 다니는 회사에서 성실히 일해 연봉 5% 올리려고 매일같이 노력합니다. 재테크 공부하며 여기 저기 투자하는 사람들은 웬지 돈만 밝히는 속물 같아 보입니다. 보통 사람들이 이런 생각을 가지고 있죠?! 마인드부터 바꿔야 합니다. 유투브에 부동산 읽어주는 남자 채널이 있는데요. 알찬 내용이 많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마인드 관련 강의가 참 좋았습니다. 이런 강의는 찾아보기 힘들더라구요. 멋찐 외모와 목소리로 이해하기 쉽게..
맞벌이 부부의 쉽게 하는 재테크 종자돈 모으기결혼하고 처음 3년 정도는 경제권을 남편이 가지고 있었어요. 남편은 돈을 거의 안쓰는 스타일이지만 그렇다고 돈을 관리할 줄도 모르더라구요;;; 먼저 저축하는 것도 아니고 무조건 적게 쓰고 남는 거 저축 ㅡㅡ; ; 저 또한 그 때는 재테크에 무지한이라 남편만 믿고 있었답니다.재테크에 있어서 꼭 필요한 것이 종자돈 모으기인데요. 그 때 남편의 고지식한 자산관리(?) 스타일 덕분에 종자돈이 모아진 것 같습니다. 사실 딱히 재(財)를 불리는 테크닉을 발휘할만한 시기도 아니었던 거 같아요. 재테크 공부 시작잠시(?) 외벌이로 돌아섰을 때 경제권을 갖게 됩니다. 그 시절 재테크의 '재'자도 몰랐어요. 공부를 하기 위해 재테크 책을 사고 방송도 열심히 봅니다. 카페도 가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