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 중위소득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중위소득은 정부의 각종 복지 지원 기준이 되는 중요한 지표예요. 청년수당이나 월세 지원뿐만 아니라 여러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준이 되니 잘 알아두시면 좋아요. 매년 새로운 기준이 발표되니, 한번씩 확인 후에 지원받을 수 있는 복지 정책이 있으면 신청하시기 바래요.

1. 2025년 중위소득 기준

먼저,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을 가구원 수별로 확인해볼까요?

가구원 수기준 중위소득 (월)
1인 가구 2,392,013원
2인 가구 3,932,658원
3인 가구 5,025,353원
4인 가구 6,097,773원
5인 가구 7,108,192원
6인 가구 8,064,805원

이 수치는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한 것으로, 가구원 수에 따라 중위소득이 다르게 책정되어 있어요.

2. 2025년 가구원 수별 중위소득 및 비율별 금액

2025년의 가구원 수에 따른 중위소득과 그 비율별 금액을 아래 표로 정리해드릴게요.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100%) 30% (생계급여) 50% (주거·교육급여) 150% (청년수당 등)
1인 가구 2,392,013원 717,604원 1,196,007원 3,588,020원
2인 가구 3,932,658원 1,179,797원 1,966,329원 5,898,987원
3인 가구 5,025,353원 1,507,606원 2,512,677원 7,538,030원
4인 가구 6,097,773원 1,829,332원 3,048,887원 9,146,660원
5인 가구 7,108,192원 2,132,458원 3,554,096원 10,662,288원
6인 가구 8,064,805원 2,419,442원 4,032,403원 12,097,208원
7인 가구 8,988,428원 2,696,528원 4,494,214원 13,482,642원

참고: 8인 이상 가구는 7인 가구 기준에 6인 가구와 7인 가구의 차액을 더해 계산합니다.

 

3. 중위소득별 지원 가능한 복지 정책

이제 각 중위소득 구간별로 어떤 복지 정책을 지원받을 수 있는지 알아볼게요.

(1) 중위소득 30% 이하 가구

생계급여

  • 지원 대상: 소득이 중위소득 30% 이하인 가구
  • 지원 금액: 가구원 수와 소득인정액에 따라 다름
  • 신청 방법: 거주지 주민센터에 신청

(2) 중위소득 40% 이하 가구

의료급여

  • 지원 대상: 소득이 중위소득 40% 이하인 가구
  • 지원 내용: 의료비 본인부담금 지원
  • 신청 방법: 거주지 주민센터에 신청

(3) 중위소득 48% 이하 가구

주거급여

  • 지원 대상: 소득이 중위소득 48% 이하인 가구
  • 지원 내용: 임대료 또는 수선비 지원
  • 신청 방법: 거주지 주민센터에 신청

(4)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

교육급여

  • 지원 대상: 소득이 중위소득 50% 이하인 가구
  • 지원 내용: 교육활동지원비 지원
  • 신청 방법: 거주지 주민센터에 신청

(5)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보육료 지원

  • 지원 대상: 소득이 중위소득 100% 이하인 가구
  • 지원 내용: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
  • 신청 방법: 어린이집을 통해 신청

(6)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

 

청년수당

  • 지원 대상: 소득이 중위소득 150% 이하인 만 18세~34세 청년
  • 지원 금액: 월 최대 50만 원 (최대 6개월)
  • 신청 방법: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신청

청년 월세 지원

  • 지원 대상: 소득이 중위소득 150% 이하인 만 19세~39세 청년
  • 지원 금액: 월 최대 20만 원 (최대 12개월)
  • 신청 방법: 복지로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 신청

4. 지원금 신청 시 유의사항

  • 소득인정액 산정: 소득뿐만 아니라 재산, 부채 등도 고려하여 소득인정액이 산정됩니다.
  • 신청 기간: 각 지원금마다 신청 기간이 정해져 있으니, 해당 기간 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 구비 서류: 신청 시 필요한 서류가 다를 수 있으니, 사전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중위소득은 다양한 복지 혜택의 기준이 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가구의 소득 수준에 따라 지원받을 수 있는 정책이 다르니, 자신의 상황에 맞는 지원금을 확인하고 신청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이나 신청 방법은 복지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