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주식 투자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요즘 KODEX 200 타겟 위클리 커버드콜(이하 "KODEX 200 커버드콜")이라는 ETF가 있다는 얘기를 한 번쯤 들어보셨을 거예요. 이름이 좀 길고 어려워 보이지만, 쉽게 풀어보면 이 ETF는 주식시장 변동성 속에서도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하는 상품이에요. 주부들도 관심 가져볼 만한 상품이라, 오늘 한 번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1. KODEX 200 커버드콜이 뭔데?
이 ETF는 기본적으로 KOSPI 200을 추종하는데, 거기에다가 "커버드콜 전략"을 활용해요. 커버드콜 전략이 뭐냐 하면, 주식을 보유한 상태에서 그 주식의 콜옵션을 매도하는 방법이에요.
KODEX 200 커버드콜의 운용사는 삼성자산운용이고, 2024년 12월 3일에 상장하였습니다. 아직 오래되지 않은 신생 ETF입니다. 하지만 현재 시총 3471억원(4.2 기준) 으로 사람들의 관심을 많이 받고 있어요. 총 보수는 0.39%이고, KODEX 200 커버드콜의 구성 종목은 아래와 같습니다.

✔️ KOSPI 200이 오르면?
→ 주식은 오르지만, 콜옵션 매도 때문에 상승 수익이 제한됨.
✔️ KOSPI 200이 하락하거나 박스권이면?
→ 콜옵션 매도 프리미엄 덕분에 일반적인 ETF보다 손실을 줄일 수 있어요. KOSPI의 경우 미국 나스닥이나 S&P에 비하면 슬프게도 거의 박스권에서 조금씩 오르고 내리기 때문에 이런 커버드콜 ETF로 한국 시장은 어느 정도 장점이 될 수 있어요.
즉, 큰 상승장에서 수익이 제한될 수 있지만, 변동성이 클 때나 박스권일 때는 꾸준한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상품이에요.
2. 배당처럼 꾸준히 나오는 월 분배금
이 상품의 가장 큰 특징은 매달 분배금이 나온다는 점이에요. 보통 ETF의 분배금은 1년에 한 번이나 분기에 한 번씩 나오는데, 이건 매월 나와서 마치 월급처럼 꾸준히 현금 흐름을 만들 수 있어요.
이게 가능한 이유는 콜옵션 매도 전략으로 발생하는 프리미엄(수수료 개념의 돈) 덕분이에요. KODEX 200 커버드콜은 KOSPI 200 지수를 추종하는 주식을 보유하면서, 동시에 해당 주식의 콜옵션을 매도해서 일정한 수익을 확보해요. 이 옵션 매도 프리미엄이 바로 분배금의 원천이 되는 거예요.
✔️ 매달 분배금이 나온다고 해서 마냥 좋은 건 아니에요.
→ 원금 손실 가능성도 있고, ETF 가격이 떨어지면 배당보다 더 큰 손실이 날 수도 있어요.
3. 분배금 기준일은?
KODEX 200 커버드콜의 분배금 기준일은 매월 15일예요. 15일이 공휴일인 경우 직전 영업일이 분배금 기준일이 된답니다.
✔️ 분배금 받으려면?
→ 분배금 기준일로부터 영업일 이틀 전에 ETF를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 분배금은 기준일로부터 영업일 이틀 후에 지급됩니다. 기준일 1~2일 전에는 배당락이 발생합니다.
4. 월 분배금은 얼마죠?
3월 18일 : 1주당 140원
2월 18일 : 1주당 142원
1월 15일 : 1주당 202원
현재까지는 위와 같이 분배금이 지급되었습니다. 분배율이 상당히 큽니다. 분배금 및 수익률 등 다른 정보도 자세히 보고 싶으시면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5. 세금은 어떻게 되나? (비과세 & 금융소득종합과세)
자, 이제 중요한 세금 이야기를 해볼게요. 근로 소득이 높거나 이미 다른 이자나 배당 소득이 높으신 분들에게는 세금 면에서 커버드콜이 매우 큰 장점이 될 수 있어요.
- 비과세 혜택이 있을까?
- 일부 비과세 혜택이 있어요. KODEX 200 커버드콜의 분배금은 옵션 프리미엄 수익과 주식 배당금으로 구성돼 있어요. 이 중 옵션 프리미엄 수익은 비과세이고, 주식 배당금은 배당소득세(15.4%)가 부과돼요.
- 일부 비과세 혜택이 있어요. KODEX 200 커버드콜의 분배금은 옵션 프리미엄 수익과 주식 배당금으로 구성돼 있어요. 이 중 옵션 프리미엄 수익은 비과세이고, 주식 배당금은 배당소득세(15.4%)가 부과돼요.
-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일까?
- 일부 해당될 수 있어요. 배당소득은 연간 2,000만 원이 넘으면 금융소득종합과세에 포함되는데, KODEX 200 커버드콜의 분배금 중 주식 배당금 부분만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에요.옵션 프리미엄 수익은 비과세이므로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에 해당되지 않아요. 때문에 만일 2000여만원의 금융소득이 이미 있고, 매월 현금흐름이 더 필요한 직장인이라면 커버드콜을 조금 이용해보는 것도 좋을 거 같습니다.
금융소득종합과세에 대해 더 자세히 확인해보시고, 5월 종합소득세 신고 시 참고해주세요.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확인과 피할 수 있는 방법
6. 누가 관심가져야 하나?
이제 결론을 내볼게요. KODEX 200 커버드콜이 누구한테 좋은지 정리해 볼게요.
- 관심 가지면 좋은 사람
- 배당처럼 꾸준한 현금 흐름이 필요한 사람
- 시장이 박스권일 때도 꾸준히 수익을 원하는 사람
- 너무 공격적인 투자보다 안정적인 수익을 원하는 사람
- 주의해야 할 점
-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음
- 강세장에서는 상승 수익이 제한됨
-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될 수도 있음
그래서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원하지만, 세금 문제도 감안할 수 있는 사람이라면 한 번 고려해 볼 만한 상품이에요. 하지만 "무조건 돈 버는 상품"은 아니니 신중하게 생각해야겠죠? 큰 금액은 투자를 하고 월세를 사시거나, 은퇴하여 소득이 없지만 매월 생활비가 필요하신 분들이라면 고려해보시고, 아직 젊으시고 안정적인 소득이 있는 분이라면 다른 상품에 관심가져보시길 권합니다. 투자는 항상 신중하게 하세요.
'▒ 김주부 재테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Kodex 미국배당커드콜액티브(441640) 월배당 ETF (2) | 2025.03.31 |
---|---|
연금저축계좌 가입조건 및 소득공제 한도, 과세이연 축소 (2) | 2025.03.30 |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확인과 피할 수 있는 방법 (2) | 2025.03.29 |
SCHD 로 하는 느리지만 꾸준한 재테크 (3) | 2025.03.26 |
ISA 계좌란? 서민형 전환 방법과 비과세 한도 (4) | 2025.03.24 |